본문 바로가기
알리바바 수출 연구소

D/P, D/A 추심 결제 조건에서 후불 결제(둘다 위험한 외상거래)

by PoweredbyTistory 2021. 2. 16.
반응형

 

추심은 후불 결제 조건에서 수출자를 기준으로 합니다.

 

추심거래에서 수출자는 해상 건이라면 OBL과 기타 선적서류를 항공 건이라면 AWB과 기타 선적서류를 수출지의 은행에 전달하고 수출지 은행은 이들 서류를------> 수입지 은행으로 전달합니다. 

 

 

D/P Document against Payment ( 지급 인도 조건 )

 

 

그리고 수입지 은행이 D/P At Sight 조건에서는 수입자에게 해당 건의 대금을 결제받은 이후에 수입자에게 서류를 전달하여 대금을 수출지 은행으로 결제하고 수출지 은행을 수출자에게 결제합니다.

즉 수입상이 추심은행에 수입대금을 지급(지불)과 동시에 선적서류를 받게 되는 것으로 수입상이 대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선적서류를 받지 못하므로 물품을 받을 수 없습니다.

 

 

 

 

D/A Document against Acceptance ( 인수도 조건 )

 

 

수출지수출지 은행으로부터 서류를 받은 수입지 은행이 수입자에게 먼저 서류를 전달하고 명시된 기간 이내에 수입자에게 대금 결제받아서 수출이 은행을 통해서 수출자가 결제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즉, 수입상이 환어음을 인수함과 동시에 선적서류를 받는 것으로 실제 대금을 지급하지 않고 환어음을 인수하여 어음책임만 부담하면서 선적서류를 받는 것으로 수입상은 선적서류를 먼저 교부받을 때 어음만 인수하고 실제 대금은 어음 만기일에 지급해주면 되므로 수입상이 대금지급의 기간을 부여받게 되는 것입니다.

 

 

 

 

추심결제 조건은 이렇게 수출자 입장에서는 D/P, D/A 모두 후불이지만, 수입자 입장에서는 D/P의 경우 선불이 되고 D/A의 경우 후불이 되는 조건입니다. 하지만 D/P는 수입자가 대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물품 또한 수입지에 있으므로 다시 회수해야 하는 부담과 위험도 있습니다. D/A 경우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어음만 인수하고 실제 대금 또한 만기까지 지급하지 않으면 그 기간과 물품도 수입지에 머물게 되므로 수입자의 거래 신용과 거래 유무를 사전에 잘 파악하는 게 좋습니다.

 

 

 

 

추심 결제 조건은 신용장 조건과 같이 서류처리가 은행을 통해서 진행되지만, 은행은 수출자에게 해당 건의 대금에 대해서 지급 보증하지 않고, 수입자에게 계약서에 명시된 물품을 전달할 것이라는 보증 역시 하지 않습니다!

 

 

D/P Usance : D/P at 30 Days after Sight와 D/A의 차이점

 

 

D/P At Sight는 선적서류가 수입지 은행에 도착하면 바로 수입자에게 대금 징수하고 선적서류를 인도하는 원래 의미를 D/P를 말하고, D/P USANCE는 선적서류 도착 후 명시된 기간 이후에 수입자에게 전달하는 조건이며 반면에 D/A는 서류를 수입자에게 전달 후 명시된 기간 이내로 결제를 받는 조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