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적하보험4 해상 적하보험료 계산방법과 보험증서 용어 해석 무역 적하보험에 가입하기 위해 내는 보험료를 적하 보험료라고 합니다. 적하는 '적재된 화물'을 뜻하는데 즉, 선박이나 항공기에 적재된 화물에 대한 보험이 적하보험입니다. 적하보험은 선박에 실린 화물에 대한 것이냐, 항공기에 적재된 화물에 대한 것이냐에 따라 선박 적하보험과 항공 적하보험으로 나뉩니다. 적하 보험료를 계산하는 방법은 보험회사에서 보내주는 청구서 등을 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하 보험료 계산방법 인보이스 금액 X 110% X 보험료율 X 환율 보험증권 용어 모든 분야는 자기 분야에서 쓰는 특별한 용어가 있는데, 그 분야에서 일하기 위해서는 용어를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무역할 때도 용어를 이해하고 있어야 업무가 순조롭습니다. 적하보험에 나오는 용어는 참고이며, 보험증서에 나오는 일반적인.. 2022. 5. 6. 해상적하보험의 명시담보와 묵시담보의 차이점과 내용 담보란 특정 조건에 대해 피보험자가 지켜야 할 약속으로 해상 적하보험의 보험증권에 명시되어있는지 여부에 따라 명시 담보(express warranty)와 묵시 담보(implied warranty)로 분류됩니다. 명시 담보와 묵시 담보의 차이점 명시 담보는 당사자의 합의에 의해 보험증권과 결합된 특정 서류에 명시하는 약정이며, 묵시 담보는 보험증권에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해상보험에 예외 없이 내재된 계약의 기초로 효력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묵시 담보는 계약 당사자 간의 합의유뮤에 관계없이 법률에 의해 보험계약의 전제가 되는 있는 담보로 해상보험계약에만 존재하는 것입니다. 명시 담보는 보험증권이나 약관상에 명시되어 있지만 묵시 담보는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반드시 지켜야 할 담보입니다. 명시 담보의 내용 명시 담.. 2021. 7. 16. 적하보험에서 전손(Total Loss)와 분손(Partial Loss), 보험 용어 해설 해상 적하보험에서 적하는 "적재된 화물"이라는 뜻입니다. 즉 적재된 화물에 드는 보험을 적하보험이라고 하며 화물의 파손 등이 발생했을 때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드는 보험입니다. 항공이나 선박으로 배에 적재된 화물은 기상이변이나 불가항력에 따라 언제든지 수송 중 사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대비해 적하보험에 드는 것은 필수일 수 있습니다.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보험증권(Insurance Policy) 문장 해석 신용장(LC)에서 보험증권상 요구하는 특정 문구와 문장이 있습니다.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매입 시 필요한 몇 가지 문장 보험증권 원본 세트와 백지 배서, 보험 부보율에 대한 문구에 대해서 알아 findmaster.tistory.com 인코텀즈 중 CIP, CIF는 수출자가 적하보험에 들도.. 2021. 6. 4. 적하보험의 보험료 계산하는 방법 적하보험은 항공이나 선박으로 화물이 운송 중에 일어나는 사고로 손해(loss)를 입었을 경우에 보상하는 해상보험인데, 수입업자가 운송 중에 생길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해 미리 운송업체를 통해 보험에 들어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략 인보이스 금액이 $50,000 안팎의 가액이라면 적하보험의 보험료는 3-4만원 정도이므로 서로 오랫동안 거래한 업체들(수입자/수출자)은 보험료 비용이 생각 외로 크지 않아 서비스로 제공하는 수출업체도 많습니다. 해상수입물품의 보험요율을 근거로 보험료 계산하는 공식은 아주 간단합니다. 적하보험 보험료 계산방법 인보이스 금액 X 110%(희망이익) X 0.0??%(보험요율) X 1,150.00(환율) 110% 는 (희망이익)이며 희망 이익은 통상적으로 10% 추가로 부보 합니다. .. 2021. 3.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