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P 조건의 이론적인 내용은 무역학원론이나 무역실무론에서 수출자가 지정된 장소에까지 모든 비용과 위험 그리고 자국이 아닌 수입국의 현지 수입통관비용까지 부과하는 조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DDP (DELIVERED DUTY PAID), 관세지급인도조건이라는 뜻이며 '관세'란 수입국의 관세까지 모든 비용을 수출자가 포워더에게 지급을 하여야 합니다.
DDP 조건을 역으로 생각해보겠습니다. 한 특정 수입업체와 수출입계약을 체결하거나 혹은 1대, 1개의 샘플 구매를 한다고 가정할 시, 수입자의 환경이나 상황이 여의치 않아 판매자에게 물품 견적을 DDP 조건으로 거래명세서나 'PI(Proforma-Invoice)'를 요청할 수 있겠죠? 만일 이 바이어(수입자)가 앞으로 우리 업체의 물품을 장기적으로 대량 구매를 할 수 있는 능력 있고 잠재적인 유망한 바이어라고 하면 수출자(판매자)의 무역 새내기 입장에서는 '흔쾌히' 승낙할 수 있거나 반면 어느 정도 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일 경우에는 '글쎄'라는 단어가 나올 수 있는 무역조건입니다.
물론, 확실히 수출자는 DDP 조건에서 모든 견적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DDP 견적서는 최대한 많이 발품을 팔고 알아봐야하는 상당히 난관이 따르는 견적서입니다.
여기서 발품이란 '포워더' 와 '관세사'를 아주 못살게 굴어야 나올 수 있는 견적이기도 하죠, 더 중요한 것은 수입국의 관세와 통관비용, 부대 수수료, 관세율/부가세율, 국가 내에서 또 다른 알게 모르게 나오는 상세한 비용까지 속속들이 파악해야 하는 끔찍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한 정답은 '포워더'가 쥐고 있으며, 왠만한 일면식 있는 포워더가 아닌 이상은 수출자의 요구를 들어줄 수 있는지는 수출 담당자의 능력에 달려있습니다. 또한 수입관세율을 파악해야 하는데 DDP조건을 한 번 진행해본 수출자(판매자)는 이를 통해 어마어마한 무역 학습을 몸소 체험하며 배울 수 있습니다.
수출에서는 제품 1개/박스/대 가 출고되거나 한 컨테이너가 출고되어도 해야하는 서류 작업은 동일합니다. 수출에서는 단 돈 1만 원짜리를 판매하거나, 1억 원어치의 물품을 판매하여도 똑같은 서류 작업과 똑같은 시간을 할애하는 업무입니다. 즉 수출 물품 가치나 가액만 다를 뿐입니다.
DDP 조건/ DDP 견적서는 상기의 이미지의 견적 내용을 포워더를 통해서 수입국 현지에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시도때도 없이 질문하거나 요청하여야 합니다. 또한 '관세사'를 통해서 수입국내에 발생하는 우리 업체의 제품의 관세율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고 임해야 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관세사' 보다 '포워더'를 통해 자문을 구하는 편이 좋습니다. 이유는 수입국 현지에서 발생하는 각종 수수료와 관세/ 국가마다 다른 부가세 정보 그리고 수입국 현지의 내란/소요/운송업체의 '파업'/물류업체의 상황까지 포워더의 수입국 파트너 포워더를 통해 모든 정보를 입수하여야 견적을 받을 수 있고 견적서를 작성 시, 마이너스 견적이 아닌 맞는 견적서를 작성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렇게 어렵게 작성한 DDP견적서는 'COST BREAKDOWN(세부내역)' 웬만하면 바이어에게 되도록이면 OPEN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수출자가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수입국 내에서 발생하는 최소한의 관세율 만큰은 대략 알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선 휴대폰을 생산/수출하는 회사이며 브라질로 수출을 가정할 시, 무선 휴대폰의 HS CODE는 8517.69.9000이며 우리가 다른 국가에서 무선 휴대폰을 수입했을 때 관세율은 8%, 탄력, 양허관세율은 0% 가 적용됩니다.
반대로 수입국가의 관세율 확인은 특정 품목과 제품에 한해서 국가마다 다른 관세율을 가져가므로 브라질의 수입관세율은 14% 가 적용됩니다. 즉 역으로 수입하는 국가의 '우리제품' 관세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세법령정보 포털)
결론적으로, DDP 조건의 견적은 직접 뛰어들어 코트라나 현지 사정을 잘 아는 포워더를 통해서 관련 자료나 현지 상황, 현지 비용을 확인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한 현지의 수입 관련된 제반 비용은 개발도상국가의 경우, 빠른 정보를 받기 어렵거나 정확한 내용을 받는데 장기간 소요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DDP 비용을 포워더를 통해 받기 어려울 시에는 바이어와 DDU 조건으로 변경하거나 다른 무역조건을 제안하는 방법이 제일 현명합니다.
수입비용 정산, 수입관세 부가세 계산하는 방법과 공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 BL(Switch B/L)을 스위치 하는 방법은 (0) | 2021.02.28 |
---|---|
DDU 조건의 폐지? 하지만 업계에서는 많이 쓴다 (0) | 2021.02.26 |
DAT (터미널 인도조건) DAP (목적지 인도조건) 의 차이점은? (0) | 2021.02.23 |
항공화물운송장 '웨이빌' (Airway Bill- AWB)의 기능은? (0) | 2021.02.19 |
D/P, D/A 추심 결제 조건에서 후불 결제(둘다 위험한 외상거래) (0) | 202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