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해외주식42

미국주식의 퀀트분석 프로그램 뉴지랭크 US 해외주식을 알고 싶다면 '캐시 우드 포트폴리오'를 보자 지금쯤이면 모두가 캐시 우드를 알아야만 할 것입니다. 투자 업계에서 40년 경력을 쌓은 캐서린 우드 '캐시 우드'는 2014년 ARK Investment Management LLC를 설립하여 주로 주식 시장을 중심으로 점점 소 findmaster.tistory.com 뉴지랭크 US는 대한민국 10대 핀테크 기업인 뉴지스탁이 선보이는 국내 최초의 미국 주식 퀀트분석은 대한민국 10대 핀테크 기업인 뉴지스탁이 선보이는 국내 최초의 미국 주식 퀀트(Quant) 분석 서비스입니다. 퀀트분석은 철저하게 숫자를 다루는 분석기법입니다. 퀀트분석은 주관적 판단 없이 데이터만을 분석해 주가 향방을 예측하는 것입니다. 미국 뉴욕 증권 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주식과 .. 2021. 4. 13.
펀드의 수익률, '벤치마크 BM' (코스피200지수기준)알아보기 펀드의 수익률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요한 것 하나는 벤치마크(비교지수)라고 합니다. 비교지수"벤치마크"는 펀드가 투자하는 시장의 "평균성과" 지수를 알아보는 것인데 국내 주식형 펀드는 코스피 지수가 벤치마크이며, 벤치마크는 펀드 수익률을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벤치마크는 - 기준이 되는 점, 측정기준을 말하는데, 펀드의 수익률을 비교하는 '기준 수익률'로 펀드 매니저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투자성과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지수입니다. 그래서 어떤 펀드든 간에 무엇을 기준으로 운용하겠다는 비교대상을 하나씩 달고 운용됩니다. 기준이 되는 벤치마크보다 더 낫게 운용해야 되는 점이 중요한데 펀드 자체 수익률만으로 펀드가 좋거나 나쁘다고 할 수 없습니다. 보통 국내 주식형 펀드는 코스피 200 지수가 기준입니다. .. 2021. 4. 8.
주식형 펀드, 채권형 펀드 EMP펀드로 초분산투자 효과 펀드에 가입하려면 어디로 가야 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권사로 가야 할지, 은행으로 가야 할지, 펀드도 다양한 상품이 있는데 주식 투자를 하는 것이 어렵다면, 펀드 투자로 시작하는 것도 좋은 점입니다. 펀드는 아시다시피, 증권사나 은행이 고객의 돈을 모아 투자 전문가인 펀드매니저가 운용하고 수익이 나면 그만큼 돌려주는 것이죠, 펀드의 장점은 소액으로 다양한 종목에 투자할 수 있고, 분산투자로 투자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입니다. 펀드 또한 주식보다 쉽고 간단하게 시작할 수 있지만 어디로 가야 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권사로 가야 할지, 은행으로 가야 할지, 펀드도 다양한 상품이 있는데 주식 투자를 하는 것이 어렵다면, 펀드 투자로 시작하는 것도 좋은 점입니다. 펀드는 아시다시피,.. 2021. 4. 7.
뷰직스 (나스닥 VUZI) 스마트 안경 VR AR 시장의 수혜주 뷰직스(나스닥 VUZI)는 증강현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계하고 생산하는 판매회사입니다. 설립 초기에는 군사용 제품을 개발했지만 이후에는 일반 소비자를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을 개발하고, 세계 최초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2010년 첫 번째 증강현실 안경인 스타 1200 STAR을 선보였고, 2017년에 휴대폰 회사인 블랙베리(BlackBerry)의 기업용 스마트 안경 공급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현재는 인텔이 지분의 30%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뷰직스의 경쟁사로는 삼성전자, 소니, 오큘러스 VR, 리콘 인스트루먼츠(Recon Instruments), HTC 등이 있습니다. 오큘러스는 2012년에 설립되었고 가상현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회사로, 2014년에 페이스북으로.. 2021. 3. 29.
미국 주식의 3대 지수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이슈와 세계적 변화의 트렌드는 바로 4차 산업혁명입니다. 제4차 산업혁명을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가상현실, 증강현실 클라우드, 로보틱스, 3D 프린팅을 이루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이라 일컬어지는 분야에서 선두권에 위치한 기업들은 없습니다. S&P 500 지수 미국 주식 시장을 잘 나타내고 있는 S&P 500 지수는 스탠더드 앤 푸어스(Standard and Poors) 사가 작성하는 S&P 500 지수는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대형 기업 500개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종목은 업종별로 고르게 구성되어 있고 시가총액 기준으로 보면 IT업종이 20%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중에 속합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 (DJI) 다우존스.. 2021. 3. 28.
미국 주식 투자 우리나라 주식과 차이점 미국과 우리나라의 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표기하는 색상은 다릅니다. 우리나라는 상승하면 빨간색, 하락하면 파란색이지만 미국은 상승하면 녹색이나 파란색, 하락하면 빨간색이 됩니다. 국내 증권사 등에서 제공하는 미국 주식 주가의 경우 국내 주식과 동일한 색상으로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이것 때문에 국내 증권사 시스템에 익숙한 투자자들과 미국 주식을 막 시작한 초보 투자자들이 야후 파이낸스 등과 같은 미국의 투자정보 사이트를 접하면 당황하기도 합니다. 흔히 블루칩이라고 하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주가가 오르는 대형 우량주를 뜻하는데 같은 맥락에서 미국과 유럽에서는 주가 상승을 파란색으로 표기합니다. 반면에 일본은 빨간색이고 중국도 '양'의 기운을 상징하기 때문에 주가 상승을 빨간색으로 표기합니다. 미국 주식과 국.. 2021. 3.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