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고4 인보이스 CONSIGNEE 와 BUYER 차이점 무역을 하다 보면 서류를 작성할 일이 많습니다. 그래서 보통 "무역은 서류로 시작해서 서류로 끝난다"라고 하고, 말이 아닌 "문서로 이야기한다"라고 합니다. 실제로 업무를 해보면 서류를 달라는 곳도 많고, 내가 필요해서 전화로 요청할 때도 많습니다. 예를 들면 이렇습니다. 포워더는 B/L을 발행하기 위해 패킹 리스트를 이메일로 보내달라 요청 은행은 해외에서 송금된 금액에 대해 증빙서류를 요청 바이어는 원산지증명서를 항공 특송으로 보내달라고 요청 사내 회계팀에서는 세무서에 낼 자료로 수출신고필증(면장) 수입신고필증(수입면장)을 요청 경리, 회계부서 (회계사무소)와 무역서류 세무서에 낼 자료는 잊지 말고 경리직원에게 넘겨서 수출이나 수입 관련된 신고를 하도록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무역회사라도 무역을 아는.. 2022. 5. 8. 환가료(Exchange commission)의 의미와 환가료 구하는 법 환가료(Exchange commission)의 의미 Exchange는 환가를 의미하며, commission은 요금을 의미하므로 우리말로 환가료가 된 것입니다. 환가료는 수출자가 네고시에 수출자 거래은행에서 미리 떼는 일종의 '이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신용장에서 네고(Nego)란 '네고'는 어음으로 치면 일종의 어음할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어음은 돈을 빌리는 사람이 언제까지 돈을 갚겠다는 지급을 약속하는 일종의 증서입니다. 돈을 지급하겠다는 사람의 신용이 대단히 높다는 것은 돈 떼일 일이 없다는 것이겠죠. 이 어음을 받는 사람은 은행에 어음을 주고, 은행은 어음을 발행한 사람이 돈을 주기로 한 날짜까지의 이자를 계산해 이자를 뗀 나머지 금액을 은행에 제출한 사람에게 줍니다. 여기서 날짜로 계산한 이자를.. 2021. 11. 12. 신용장의 수출환어음매입, 네고(Nego)와 매입절차 신용장 조건의 네고(Nego)의 의미 수출자가 신용장에 따라 선적을 완료하고 발행한 수출환어음 또는 신용장에서 요구한 선적서류 일체를 지정은행이 매입하도록 신용장에서 요구하는 서류 일체를 제출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선적서류의 대가로 수출자에게 수출대금을 지급하는 행위를 협상(Negotiation)이라는 의미에서 매입(NEGO - Negotiation)이라고 수출환어음의 매입(Negotiation)은 수출자가 신용장 또는 어음지급 서류 인도조건(D/P), 어음 인수도 조건(D/A) 수출계약에 따라 선적을 완료하고 발행한 환어음 및 운송서류를 매입은행(Negotiation Bank)이 할인(Discount)하는 방식으로 수출대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대금결제행위를 은행과 수출자에게 지급한 수출대금을 신.. 2021. 7. 21. 어음과 환어음의 차이점 어음할인(네고) 어음은 어음을 발행한 사람(매수인=채무자)이 언제까지 돈을 주겠다는 것을 문서로 작성한 것으로, 이 문서를 갖고 있는 사람은 나중에 정해진 기간이 되면 어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매수인=채무자)은 은행에 어음을 제출하고 이에 은행은 어음발행인(매수인=채무자)으로부터 받은 돈을 전달합니다. 어음은 누구나 발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어음을 발행하려면 당좌예금을 틀어야 하며 은행에서 당좌예금을 개설하면 나누어주는 어음 종이를 사용합니다. 어음을 발행해서 당사자를 찾아가 돈을 갚을 필요는 없으며 당좌 예금에 돈을 입금해 놓으면 해당 날짜에 어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은행에서 돈을 찾아가는 것입니다. 어음 만기 전에 당장 돈이 필요한 경우에 만기가 되지 않아도 은행에 어음을 맡기고 돈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 2021. 5.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