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장의 알리바바 연구소

반응형

 

국회의원 총선 결과 어떤 정당이 정당 득표율은 높은데 지역구 당선자가 적다면 억울한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연동'이라는 방식이 있습니다. 지역구 의석과 비례의석을 말 그대로 '연동'해서 지역구에서 덜 얻게 된 의석을 정당 득표율을 기준으로 해서 비례 의석으로 채우는 겁니다.

 

얼마에 채워 주는가에 따라서 100% 채워 주면 연동형이고 현행 방식은 연동율이 50%여서 준 연동형제라고 불리는 것이며, 즉 절반만 채워 준다는 것입니다.

 

비례대표란 

정당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하는 선거제도를 비례대표제라고 합니다. 2016년까지 국회의원 정수(300석) 중 병립형 비례대표 즉, 지역구를 제외한 의석(47석)을 정당 득표율로 배분했다면,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지역구를 포함한 전체 의석(300석)을 정당 득표율로 배분합니다. 현재는 연동형 비례대표제입니다.

 

비례대표 준연동 의석수 계산식

예시) "A" 정당이 정당득표율 8%를 얻고 지역구에서 18석을 가정한 경우,

300석 중 정당득표율 8%를 얻었으므로 24석을 확보해야 합니다. 

모자란 의석수인 6석의 절반, 3석을 '준연동형' 비례대표 의석으로 A정당에 채워 주는 것입니다.

A 정당 정당 득표 8% 지역구 18석
(전체) 300석 (정당 득표) 8% 24석
(모자란 의석수) 6석 x 50% = 3석

 

22대 총선 상위 10개 정달별 득표율

22대 총선 정당별 득표율 비례대표 의석수

 

비례 의석 확보 자격

지난번 총선에서는 한시적 비례 47석 중 30석에 대해서만 준연동형제가 적용됐지만, 22대 총선에서는 47석 모두 연동됩니다. 모든 정당이 이런 의석 배분을 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비례 의석 확보 자격이 3% 이상은 되어야 비례 의석 확보 자격을 얻기 때문에 소수정당의 합종연횡(강적에 대항하기 위한 권모술수) 등 각 당의 셈법은 복잡해집니다.

 

 

 

대통령 거부권 행사 (윤석열 대통령의 6건 거부권 내용)

대통령 거부권은 국회에서 의결한 법률안에 대해 대통령이 이의를 가지는 경우에 대통령이 국회에 재의를 요구하는 권한으로 법률안재의 요구권이라고 합니다. 대통령의 가장 강력한 수단 대

findmaster.tistory.com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