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장의 알리바바 연구소

반응형

 

가성비 ASMR마이크로 유명한 ZOOM이란 곳에서 나온 H1n 마이크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ASMR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실생활에서도 환경음과 특정 사물, 요리 시 발생하는 군침 돋는 사운드를 나름대로 녹음해보고 싶기 때문에 주저 없이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 이름: ZOOM-H1N

 

  • 특징: ASMR마이크(가격은 10만 원대)

 

이 마이크는 워낙 유명한 마이크로 알려져서 유튜버든지 사운드 녹음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이미 리뷰를 해주었기 때문에 여기에서 나름대로 실사용과 많은 실험을 했으니 꿀팁 정보도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단 도착한 Zoom H1n을 개봉했을 때 들어있는 소품은 마이크 본체와 그다지 오래 지속될 것 같지 않은 AAA 작은 배터리 X2개, 그리고 다양한 국가 언어로 제공되는 설명서가 있습니다. 

 

 

 

마이크 본체는 생각 외로 가볍다는 생각과 한 손에 숨겨지는 미니멀한 작은 체형을 금방 알 수 있는데, 비교를 하자면 집에 있는 작은 TV 리모컨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상단의 크롬으로 도금, 교차되어있는 2개의 마이크, 음향 녹음 숫자 다이얼, 그리고 화면 밑에 있는 녹음에 필요한 환경 제거 버튼이 있습니다.

 

 

 

Zoom H1n 기능 버튼 

 

  • AUDIO

 

보통 실내에서 녹음한다고 가정할 시, 일반적으로 세팅하는 기준의 음성 타입을 설정하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대체적으로 48k/16bit로 설정합니다. (Khz/Bit)는 높으면 높을수록 디테일한 음향을 저장합니다. 

 

  • LOCUT

 

로컷(Locut)은 화이트 노이즈 필터링 기능이죠. 조용한 곳에서 녹음할 때는 80Hz, 야외의 소음이 많거나 노이즈가 많으면 160Hz로 설정합니다. 

 

  • LIMITER

 

중간중간 갑자기 튀는 소리가 들어올 시, 충격음 소리를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On모드로 해두는 게 좋습니다.

 

  • AUTOLEVEL

 

소리가 갑자기 크게 들릴 시, 해당 소리를 억압해서 눌러주는 역할이고 소리가 작게 되면 자체적으로 볼륨을 올리게 되어 소리가 크게 들어가는 역할을 합니다. 실내에서 녹음하거나 ASMR 작업일 경우는 Off를 하는 게 좋습니다.

 

 

 

우측 편 SETTING 단자/카드 삽입

 

  • 마이크로 SD카드 삽입부

 

우측 편에는 차례대로 마이크로 SD카드를 사용해서 저장합니다. 영상에 비해 음성 자체의 용량은 크게 잡아먹지 않기 때문에 SD카드(16GB/32GB) 면 충분합니다 (64GB SD카드는 인식되지 않습니다) 물론 해당 SD카드 가격은 오픈마켓에서 6~7천 원 가격대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 SETTING/ DC 5V

 

세팅부에서는 배터리 없이 충전 케이블에 꽂아서 사용이 가능하며, setting에서 배터리를 삽입 후 좌측으로 1~3초간 밀고 있으면 전원이 활성화되고 우측으로 밀면(휴지통) 녹음파일이 삭제됩니다.

 

휴지통 모양의 버튼과 HOLD 버튼을 함께 밀면 화면에서 SETTING 모드로 진입합니다. 화면에서 (Date/Time, LCD, Battery 등) 여기에서 날짜와 LCD 밝기, Auto Power Off, Rec Setting, SD Card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외부 마이크 LINE-IN 

별도의 핀 마이크나 외부 마이크를 이용해서 녹음기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좌측 편 볼륨 버튼

마이크 좌측에 위치한 볼륨 버튼은 녹음한 걸 직접 들어 볼 때 소리 크기를 조절하는 것입니다. 

 

  • 5 pin 케이블

마이크로 5핀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컴퓨터, 노트북에 연결을 하게 되면 외장형 마이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LINE OUT

이곳에서 지금 녹음되고 있는 소리나 음향을 헤드셋으로 들을 수 있습니다. 별도의 케이블을 이용한다면 스마트폰이나 카메라의 외부 마이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ZOOM H1n의 사용방법

 

다이얼 레버는 우리 목소리나 상대 물의 소리가 수음이 되는 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유튜버나 다른 전문적 사용 목적 후기는 후보정 작업 시 7 정도 또는 8 정도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든 촬영 목적과 환경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본인의 목소리나 소리를 녹음해 보고 들어 본 후에 가정 적당한 설정값을 찾는 게 좋습니다.

 

 

음성파일의 포맷 방식 (WAV, MP3)

 

 

AUDIO버튼을 누르게 되면 크게 WAV 파일과 MP3 파일 두 가지 형식을 지원하는데 WAV 형식의 파일 포맷은 44,1Khz 16Bit, 48Khz 16Bit, 48Khz 24Bit, 96Khz 24Bit 이렇게 4가지로 나뉘는데 앞의 Khz숫자가 크면 클수록 우리의 원음과 가깝게 저장이 됩니다.

 

Bit수가 높다는 것은 나중에 후보정 시 더 디테일하게 보정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CD 음질 = 44.1Khz)

 

MP3 파일 형식은 48K, 128K, 192K, 256K, 320K 이렇게 5가지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숫자가 큰 쪽이 압축을 덜하기 때문에 더 원음에 가까운 소리로 녹음됩니다.

 

 

 

 

  • 숫자 다이얼 레버

 

숫자로 맞추기 쉽게 돌릴 수 있는 레버는 소리가 들어오는 양을 조절하는 레버인데요, 숫자가 높을수록 소리가 많이 들어옵니다. (개인적으로 5 이상 놓고 녹음하고 있습니다) 레버를 돌리면서 음향, 사운드가 얼마나 들어오는지 녹음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녹음하고자 하는 대상에서 소리의 범위는 (-12~-6)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세팅을 합니다. 범위가 0 정도 되면 상대 물의 소리가 전혀 들어오지 않게 되므로 다이얼을 돌려 해당 범위 내에 들어오게 하여 녹음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콘덴서 마이크와 차이점

 

ZOOM H1n의 오디오 인터페이스 기능이 있다는 것은 다른 마이크에 비해 특별한 점입니다. 즉 컴퓨터에서 별도의 사운드 디바이스로 인식을 합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마이크가 달려있으며, 마이크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콘덴서 마이크와 확실히 다른 점입니다.

 

콘덴서 마이크는 모든 위치에서 들어오는 소리를 담는 용도로 좋지만 ZOOM 마이크의 경우는 특히, 실내 혹은 ASMR목적으로 사용할 때 집중된 상대 물의 소리와 음향을 담는다는 것입니다

 

 

 

 

WAV 파일 형식으로 사용하실 분들은 44.1Khz 16Bit로 MP3 파일 형식으로 사용하실 분들은 320K 정도로 사용하면 좋을 듯합니다. 

 

마이크를 처음 접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파악하는 데까지 테스트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방음부스가 아닌 일반 실내나 방에서 수음 테스터를 진행하려면 반드시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착용하고 청음 테스트를 여러 번 거치는 게 좋습니다. 

 

 

 

ASMR 마이크 추천! ZOOM H1n 바로가기👉👉 

 

[해외배송]ZOOM H1N 보이스 레코더 ASMR 핸디 녹음기 마이크 2019 최신판

COUPANG

www.coupang.com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