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경비율2 온라인 쇼핑몰 사업자 등록 시 업종코드 선택 (525101, 525103) 사업자등록 시 업종을 선택하는 것 외에도 업종코드가 중요한 이유는 선택한 업종에 따라 '경비율'이 달라진다는 점 때문입니다. 경비율에는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두 가지가 있는데, 이 경비율은 수입금액 중 비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비율을 뜻합니다. 단순경비율과 기준경비율 차이점 단순경비율은 영세사업자가 장부를 기장하지 않을 때 경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기준경비율은 비교적 규모가 큰 사업자가 장부를 기장하지 않을 경우 적용됩니다. 경비율은 소득을 신고할 때 신고 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수단이기에 선택도 중요합니다. 사업자등록증 신청 시 하는 일의 업종에 유사한 업종코드가 많다면, 경비율이 높은 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때 기준 수입금액 이하는 추계신고를 할 수 있어 경비율이.. 2023. 2. 8. 3.3% 개인사업자, 프리랜서의 종합소득세 신고는 어떻게 할까 실제 상당수 프리랜서들은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거나 세금 신고를 위한 장부작성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습니다. 연 수입금액이 7500만 원 이하의 사업자는 세금 신고를 위한 장부를 작성할 의무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장부를 쓰지 않으면 정확한 신고가 어려워지며, 5월 신고때가 돼서야 부랴부랴 1년 치를 더듬어 신고하려다 보니 어디에 얼마를 썼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게 됩니다. 게다가 장부가 없는 사업자는 정확한 소득금액을 알 수 없기 때문에 국세청이 정해준 [경비처리비율]로만 세금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추계신고]라고 합니다. 즉, 프리랜서 수입이 7,500만원 이상이면 복식부기 의무자이며, 2,400만 원 이상이면 기준경비율 대상자입니다. 프리랜서는 경비처리를 하는 게 좋습니다. 프리랜서를 이른.. 2021. 3.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