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탁생산은 제약업계에서 누군가의 위탁으로 생산만 해주는 것이고, 수탁개발은 누군가의 위탁으로 개발만 해주는 개념입니다. 수탁생산과 수탁개발을 합친 것이 수탁개발 생산(CDMO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입니다. 예를 들면 의약품의 개발, 분석, 생산 과정을 모두 대행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수탁생산은 CMO이며, CMO기업들이 한 단계 더 나아가 제조에 필요한 개발까지 직접 제조함으로써 CDMO 사업으로 확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되면 의약품을 발명한 위탁 기업은 오로지 신약의 개발과 마케팅만 전념할 수 있게 됩니다. 결국 수탁개발 생산은 맡아서 만들다 보면 개발하는 능력까지 생기는 것입니다.
제약산업과 거리가 있었던 대기업들이 글로벌 CDMO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한 이유는 일단 이 시장의 전망이 좋은 것과 미래 먹거리인 전기차 시장 다음으로 세포, 유전자 치료제(CGT) 시장이 확대되면서 해외 글로벌 기업들이 CGT CDMO 시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치료제와 백신 개발로 바이오의약품 CDMO 수요가 급증한 가운데 바이오벤처기업과 대웅제약, 전통의 제약사들도 CDMO 사업을 하고 있으며 CDMO 비즈니스가 기존의 항체의약품에서 세포, 유전자 치료제로 바뀔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해외 CDMO 기업들이 활발히 인수합병으로 세포, 유전자 치료제 시장을 공략하는 모습이 그러한 이유가 됩니다. 앞으로 CDMO 방식에 의해 생산될 것으로 전망하는데 우리나라의 국내 기업들도 CDMO 비즈니스 모델을 택하거나 준비 중인 제약사들도 있습니다.
고령화와 바이오의약품 성장 예상
바이오의약품은 항체의약품, 세포/유전자 치료제, 백신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항체의약품과 '원샷 치료제'로 각광받고 있는 세포/유전자 치료제는 난치성 질환, 희귀 질환, 만성질환 등에 주로 사용되며 높은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의약품 시장은 고령화, 의약품 발전 등으로 꾸준한 성장세와 바이오의약품은 뛰어난 정확성과 낮은 부작용 등을 토대로 의약품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CDMO 제약사
기업명 | 프로젝트 |
SK 바이오사이언스 |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의 코로나 19 백신 수탁생산 담당 |
삼양바이오팜 | CDMO 사업 확대 항암주사제 공장 증설 |
삼성 바이오로직스 | 스위스 바이오 기업 '론자' 그룹과 세포주 기술 특허 무효 심판에서 승소 CDMO 비즈니스 확대 |
에스티팜 | 코로나19 백신 개발 성공 항바이러스, 항암 분야에서 mRNA 치료제 개발 진행 |
바이넥스 | 러시아산 코로나19 백신 국내생산 컨소시엄 합류 |
프레스티지 바이오로직스 |
세포배양 시설을 갖춘 공장 완공 |
아포스티유 발급 시 주의 사항 (원본 인증, 번역 공증) (0) | 2022.12.10 |
---|---|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점 (품질안전 한계) (0) | 2022.11.22 |
국내 해외 OTT 요금제, 가입자 수, 점유율 비교 (0) | 2022.10.27 |
AI 자동 글 생성 프로그램 (뤼튼 wrtn 카피라이팅) (0) | 2022.10.21 |
흥미로운 오징어 게임 챌린지 온라인 참가 신청 해보기 (0) | 2022.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