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화량증가2 통화량 증가는 원화가치의 하락, 부동산 "부증산"은 그대로 있다 (2/2) 미국의 양적완화를 통해 달러 통화량이 증가하면 달러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고 수출하는 업체의 물품의 가치는 환율 변동에 의해 수출대금도 낮게 입금이 됩니다. 그에 우리 정부는 환율방어를 위해 원화를 많이 찍어 낼 수밖에 없습니다. 원화 통화량 증가는 한국은행도 미 연준에 맞춰 화폐를 많이 찍을 수 밖에 없는데 달러의 가치와 우리나라 원화의 가치도 떨어지는 것이며, 달러가 달러 통화량 증가와 더불어 원화 통화량 증가에 따라 비슷한 그래프를 그릴 수밖에 없습니다. 부동산, 주식이 오르는 것은 이상한 것이 아니며 통화량에 맞춰 가격이 오르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주식과 부동산의 차이가 있는데 주식은 전체 양이 증가를 할 수 있지만 부동산은 부증성이라는것이 있는데 "부동산은 증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 2021. 2. 20. 경제 위기에 집값이 오르는 이유는? 현금가치의 하락 [1/2] 코로나 시대 집값이 계속 오르는 이유는 어떻게 될까요? 전 세계 GDP가 정말 내려앉으며 실업률 폭등과 폐업이 속출하는데도 불구하고 부동산과 주식 그리고 해외 부동산뿐만 아니라 비트코인 마저 폭등하고 있는 가운데 주요 관심사인 부동산 집값 상승은 계속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코로나는 우리 건강만 위협하는 게 아니면 경제적으로 엄청난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의 집값의 변화는 10%씩 오르는 데가 수두룩합니다. 집값이 오르는 건 투기꾼 탓일 이유도 있겠지만 코스피와 나스닥지수 종합 최근 3년 기준에서도 부동산 투기꾼은 주식까지 같이 섭렵하고 있은 것인가요? 그렇게 생각하기에 거의 작년 말에 바닥을 치던 비트코인마저 다시 폭등하기 시작해서 지금은 1 비트코인당 5천만 원이 넘는 상황이 되어 버렸습니다.. 2021. 2.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