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 정리와 홈택스 사용방법/세금상식과 절세 비법

연말정산 시 월세액에 대한 세액공제 받기위한 방법은? (무주택자)

by PoweredbyTistory 2021. 1. 25.
반응형

 

 

연말정산을 앞둔 월세액에 대한 세액공제와 공제에 필요한 요건에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월세를 내고 사는 무주택자라면 세액공제를 통해 지급한 '월세'에 대해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 후 서류를 회사에 제출하면 됩니다.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월급쟁이 무주택자가 전입신고일 이후 집주인에게 지급한 월세액은 연간  750만 원까지 10% '무주택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총급여액이 5천5백만 원 이하이면 공제율이 12%입니다.

 

예를 들어 총급여가 6,500만 원인 사람이 현재 34평 아파트에 반전세를 살고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매월 60만 원씩 월세를 내는 경우 세액공제 혜택은 얼마나 될까요?

 

연간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무주택 근로자는 월세금액 750만 원 한도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월세로 살고 있는 주택이 국민주택규모 85m2(25.7평) 보다 크므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겠죠. 

 

 

이때 주택은 주거용 오피스텔이나 고시원도 포함됩니다.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세대의 세대원이 월세 세액공제를 신청하려면 세대주가 월세 세액공제를 받지 않아야 하고 세대원이 공제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월세액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준비해야 할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월세 세액공제를 받기 어려운 경우 국세청에서 집주인에게 송금한 월세액의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아 신용카드 등 사용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월세 세액공제와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아 신용카드 등 사용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월세 현금영수증 발급받는 방법

-월세 지급일로부터 3년 이내에 '현금거래 확인신청서'와 '월세계약서 사본'을 제출하면 월세 계약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월세 지급일에 매월 현금영수증이 자동으로 발행됩니다.

 

-국세청 홈택스

국세청 홈택스 - 상담/제보 - 주택임차료(월세) 

 

 

 

 

 

 

-세무서 직접 방문하기

가까운 세무서, 관할 세무서, 민원실에 양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월세 세액공제와 현금영수증을 활용한 소득공제를 이중으로 받을 수는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