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리바바연구소/김소장의 알리바바 온라인 탐험

식품 수입하는 분들에게 기본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과정

by PoweredbyTistory 2021. 2. 3.
반응형

 

 

식품을 처음 수입하는 분들이나 소자본 창업자분들은 판매를 목적으로 하거나 영업적 사용하기 위한 식품 수입은 '식품 등 수입판매업' 영업신고를 해야 합니다. 

 

영업자는 매년 수입식품 등의 위생관리 등에 관한 교육(신규 4시간, 보수 3시간, 교육비 2만 원)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이는 한국식품산업협회에서 해당 업종(수입식품 등 수입판매업)에 대한 온라인 교육과 교육 이수 후 수료증을 제출하면 됩니다.

 

www.kfia21.or.kr/

 

http://www.kfia21.or.kr/

 

www.kfia21.or.kr

 

 

신규영업은 대부분 온라인 강의가 편함으로 수입식품 및 수입, 판매업, 수입식품 등 신고 대행업, 인터넷 구매 대행업 등 4시간(20,000원)에 온라인 교육신청으로 수료증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온라인 이수와 영업신고를 마친 수입자는 수입을 원하는 상품의 HS CODE를 미리 알아두고 수입을 하는게 좋습니다. HS CODE를 알 수 있는 방법은 가까운 관세사 사무실에 문의를 하거나  지난 게시물의 HS CODE 확인하는 방법과 세율을 통해 수입관세율을 확인하는 것이 좋겠죠.

 

 

 

HS CODE (세번부호) 수입 관세율 확인과 원산지 증명서(C/O) 발급은 필수!

알리바바 수입을 진행할 시, 판매자 제품의 수입관세율은 어떻게 될까요? 보통 대부분 중국 소비재 및 공산품의 관세율은 8% 지만, 품목에 따라 10%, 15% 이상 되는 제품도 많습니다. 이러한 관세율

findmaster.tistory.com

 

관세평가분류원 - 식품 HS CODE 문의

 

이러한식품수입으로 정확하게 간편한 조회보다는 좀 더 확실하게 확정 서류로 된  HS CODE 번호를 받는 방법은 관세평가분류원에서 해당 식품의 HS CODE에 대한 유권해석 신청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관세평가분류원에 샘플과 수수료를  보내면 2-3주 안에 정확한 해당 식품의 HS CODE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관세평가분류원

관세평가분류원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www.customs.go.kr

 

 

또한 식품 등의 수입신고를 하기 위해서는 '제조공정도' '성분분석표'가 필요합니다. 제품에 따라서 '검역증'을 비롯하여 기타 서류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식품 관련 수입자로서, 이러한 필요 서류 역시 관세사, 관세 사무실에 꼭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식품을 최초로 수입할 경우에는 정밀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정밀검사는 식약처나 공인검사기관에 의뢰할 수 있으며 수입 신고자가 신경 써야 하는 부분도 정밀검사 비용과 정밀검사 기간입니다. 정밀검사기간은 단기간 안에 통지되지 않으므로 기간이 늦어지면 빠른 수입신고를 하지 못해 추가 비용과 유통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어 샘플로 우선 사전에 받아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세청 UNI-PASS 에서 식품 등의 수입신고 진행 절차

 

 

관세청 UNI-PASS - 통관단일창구 - 신청서 작성 - 수입 식품 등의 신고서 /인터넷 구매대행 수입식품 신청서 

 

관세청 유니패스 - 통관단일창구 - 공인인증서 로그인 - 수입식품 신청서

 

 

수입식품 신고서 와 인터넷 구매대행 식품 수입 신청서를 온라인 상에 입력을 합니다.

 

 

 

수입식품 등의 수입신고서.pdf
4.23MB
인터넷 구매대행 수입식품등의 수입신고서.pdf
1.17MB

 

 

 

유니패스 식품/식기관련 상품 수입 신고하는 방법은 식품뿐만 아니라 식기류 수입신고도 함께 신청 가능함으로 수입식품 수입신고서 정식으로 수입하기 전 (샘플)을 먼저 수입한 사전 진행방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신고제품 구분에는 수입할 식품을 선정하여 신고기관(부산/인천) 지정, 사전신고 진행

 

 

 

수입신고대행업체(수입대행) 업체를 통해 진행을 할 건지, 혹은 직접 수입을 진행할 건지 업체명/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합니다. 

 

 

 

 

업체 상세입력을 한 후에는 신고 일반으로 내려와서, 용도와 생산/제조국/수출국 주로 수 입는 품목의 관한 여러 옵션에 대해 체크를 한 후, 미리보기를 눌러 필요한 사항과 용도, 식품 수입의 관한 필수 여/부를 잘 입력했는지 미리보기와 임시저장을 자주 확인해서 누락된 것이 없는지 잘 판단 후 전송을 합니다.

 

반려되는 경우도 발생함으로 반려사유와 재확인이 필요한 문구나 항목을 다시 잘 체크하여 전송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