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장의 알리바바 연구소

반응형

 

프록시 서버란 우리가 어떤 사이트에 접속할 때 자료를 바로 찾는 것이 아니라 프록시를 한번 거쳐서 자료를 찾아봅니다. 같은 프록시 서버에 다른 유저가 해당사이트에 들어간 이력이 있다면 이걸 계산해서 프록시 서버에서 자료를 받아오는 것입니다. 

 

프록시 설정은 예전 오래된 OS에서는 인터넷 속도에 도움을 주었지만 인터넷 속도가 매우 빨라진 현재 시점에서는 이 프록시가 오히려 인터넷 속도를 느리게 만들 수 있으니 이것을 꺼주게 되면 인터넷 속도가 빨라집니다. 

 

프록시 서버란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다른 인터넷 서버 간의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며, 클라이언트는 직접적으로 인터넷 서버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프록시 서버를 통해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게 됩니다. 이렇게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의 IP주소가 실제 서버에 노출되지 않아 보안성이 높아지는 장점도 있습니다.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면 인터넷 검색을 할 때 캐시를 이용해 빠른 검색이 가능한 점이 있습니다.

 

프록시 서버 끄기 설정

 

설정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윈도우 버전에 상관없이 모두 가능하며 인터넷 속도를 좀 더 빠르게 하고 싶다면 이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윈도우 검색창 프록시 서버 설정

 

1. 윈도우 좌측 아래 검색창 '프록시 설정 변경' 검색을 합니다. 

 

 

2. 프록시 '자동 프록시 설정'이  켜진 상태에 있는데 버튼을 눌러 '끄기'로 변경합니다. VPN을 사용하고 있다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윈도우 익스플로러 프록시 서버 설정 

 

1. 윈도우 검색창을 찾지 못하는 경우 프록시 설정 변경을 하려면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들어갑니다. 

 

 

2. 우측 상단의 설정버튼을 눌러 [인터넷 옵션]을 클릭합니다.

3. [연결] 탭에서 [LAN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자동 구성에서 '자동으로 설정 검색'과 '프록시 서버' 체크 해제 해주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